대분류 | 중분류 | 항목정의 |
---|---|---|
직업 | 직업명 | 해당 직업의 명칭 |
기본정보 | 일자리 정의 | 해당 직업의 명칭 |
직무자격 | 학력 | 해당 직업을 갖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학력 수준 |
전공 | 해당 직업과 관련된 학과(전공) | |
자격증 | 해당 직업을 갖는데 필요한 자격증(면허) | |
필요 경력 | 해당 직업을 갖는데 필요한 경력기간 | |
업무 난이도 | 업무 난이도 | 해당 직업의 난이도(지식, 기술전문성 수준 등) |
직무능력 | 지식 | 학교, 학원, 직장 등을 통해서 습득 가능한 학문적 지식 또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이론적 지식을 의미 |
기술 | 산업 현장에서 실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동 능력 및 기술을 의미 | |
태도 |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본 소양 및 마음가짐, 태도를 의미 | |
근무여건 | 급여수준 |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급여수준 |
기타 | 관련 직업 정보 | 해당 직업과 관련 있는 타 직업 명칭 |
한국고용직업분류 | 해당 직업과 매칭되는 한국고용직업분류(KECO) |
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능사는 태양광, 풍력, 수력,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시공, 운영, 유지 및 보수하는 직무
‘11.11.23. 고용노동부령 제35호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(태양광) 신설
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인허가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,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
-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관련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국내 및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태양광발전 및 관련분야의 취업을 위한 첫 단계이다.
시험일정, 시험정보(수수료, 출제기준) 등 자세한 사항은 자격의 모든것 Q-Net에서 확인하세요.
자격증 정보가 없습니다.
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능사는 태양광, 풍력, 수력, 연료전지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스템에 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시공, 운영, 유지 및 보수하는 직무
‘11.11.23. 고용노동부령 제35호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(태양광) 신설
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인허가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,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
-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관련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국내 및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태양광발전 및 관련분야의 취업을 위한 첫 단계이다.
시험일정, 시험정보(수수료, 출제기준) 등 자세한 사항은 자격의 모든것 Q-Net에서 확인하세요.
기업 정보가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