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메뉴로 바로가기
주메뉴로 바로가기 일자리 내비게이터 메뉴 선택 바로가기

로그인

SNS 간편 로그인 안내

로그인이 필요합니다.
SNS 간편로그인 하시겠습니까?

ketep 로고 job navigator 로고

  • 개인정보 수정
  • 내 관심분야
  • 로그아웃
  • 내비게이터 소개
    • 인사말
    • 생태계 소개
    • 직무역량 모델
  • 분야별 일자리
    • 태양광
    • ESS
    • 풍력
    • 수소·연료전지
    • 에너지효율(건물)
    • 에너지효율(수송)
    • 에너지효율(산업)
    • 원자력
    • 지능형전력망
  • 기술인력 통계
    • 에너지기술인력 현황
    • 에너지기술인력 전망
    • 신규인력수급 전망
  • 채용정보
    • 채용정보 검색
    • 채용 박람회
  • 알림
    • 행사·소식
    • 홍보자료

신규인력수급 전망

신규인력수급 전망

인사말

  • 홈
  • 기술인력 통계
  • 신규인력수급 전망
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수요 전망(`23-`32년 누계)
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수요 전망(`23-`32년 누계)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수요 전망(`23-`32년 누계)
구분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
에너지효율 55,974 76,530 17,888
에너지 발전 및 저장 8,569 24,231 8,812
원자력 13,948 24,644 3,256
신재생에너지 7,735 13,264 4,060
화석연료 3,060 6,262 1,847

2023~2032년의 10년간 누계 기준 신규인력 수요전망 결과 총 270,080명이며, 대학원졸 35,862명, 대졸 144,932명, 전문대졸 89,286명 수준

학력별로는 대학원졸 기준 에너지효율 17,888명, 에너지 발전 및 저장 8,812명, 원자력 3,256명 등의 순임
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공급 전망(`23-`32년 누계)
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공급 전망(‘21-’30년 누계)
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신규공급 전망(`23-`32년 누계)
구분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
에너지효율 52,797 67,206 14,861
에너지 발전 및 저장 11,850 19,368 5,312
원자력 13,668 20,548 2,520
신재생에너지 8,434 15,484 3,363
화석연료 3,390 6,490 1,921

2023~2032년의 10년간 누계 기준 신규인력 공급전망 결과 총 247,213명이며, 대학원졸 27,977명, 대졸 129,096명, 전문대졸 90,139명 수준

학력별로는 대학원졸 기준 에너지효율 14,861명, 에너지 발전 및 저장 5,312명, 신재생에너지 3,363명 등의 순

분야-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수급차 전망(`23-`32년 누계)

분야-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수급차 전망(‘21-’30년 누계)
분야-학력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수급차 전망(`23-`32년 누계)
구분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
에너지효율 -3,176 -9,324 -3,026
에너지 발전 및 저장 3,281 -4,863 -3,499
원자력 -280 -4,096 -736
신재생에너지 699 2,219 -697
화석연료 330 228 74

2023~2032년의 10년간 누계 기준 신규인력 학력별 수급차 전망 결과를 보면, 대학원졸의 경우 에너지효율, 에너지 발전 및 저장, 원자력,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수요부족 현상이, 반대로 화석연료 분 야의 경우는 초과공급 현상으로 전망

특히 에너지효율과 에너지 발전 및 저장 분야의 경우는 누계치 기준으로 수요부족 현상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

출처: '23년 에너지기술인력 실태조사(KETEP)
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14길 14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
인력양성실 Tel : 02-3469-8400 Fax : 02-555-2430

Copyright©KETEP. All Rights Reserved.